
파이어베이스를 초기화하는
전용 파일을 만들 것이다.
src 폴더에
service폴더를 만들어놓고
파이어베이스 전용 파일을 만든다.
그 다음,
cmd에다가 yarn add firebase해서
필요한 파이어베이스를 추가해준다.

설치가 완료 된 후에
package.json파일로 가서보면

이렇게 파이어베이스가 추가되었을 것이다.

그리고 이렇게 파이어베이스에서
주어지는 SDK를 복사해서
우리의 firebase.js 파일에 붙여넣기 해준다.
그런데 이 코드에는 apikey가 있기때문에
공유할 때 문제가 될 수 있다.
그렇기 때문에 env로 key값을 빼주는 작업을 할 것이다.
상위 폴더에 .env파일을 만들어 준다.
REACT_APP_FIREBASE_
그리고 env파일에서는
항상 REACT_APP_이라는 프리픽스를 붙여주고
하고자하는 이름을 붙여준다.
REACT_APP_FIREBASE_API_KEY=
REACT_APP_FIREBASE_AUTH_DOMAIN=
REACT_APP_FIREBASE_DB_URL=
REACT_APP_FIREBASE_PROJECT_ID=
이런식으로 뒤에 이름을 붙이고, = 뒤에는
key값들을 옮겨준다.
const firebaseConfig = {
apiKey: process.env.REACT_APP_FIREBASE_API_KEY,
authDomain: process.env.REACT_APP_FIREBASE_AUTH_DOMAIN,
databaseURL: process.env.REACT_APP_FIREBASE_DB_URL,
projectId: process.env.REACT_APP_FIREBASE_PROJECT_ID,
};
그리고 기존 firbase.js 파일에있는 key값들은
env에서 값을 읽어온다.
그리고 이 값을 커밋하면 안되니까
.gitignore 파일에서
#API Keys
.env
이렇게 추가를 해준다.